루이스 니런버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 니런버그는 캐나다 출신의 수학자이다. 그는 편미분 방정식, 미분 기하학, 함수 부등식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한 연구로 명성이 높다. 뉴욕 대학교 쿠란트 수학 과학 연구소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보처 기념상, 크라포드 상, 아벨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2020년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 유대계 캐나다인 - 어빙 고프먼
어빙 고프먼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상생활을 연구하고 드라마투르기 이론을 발전시킨 캐나다 출신의 사회학자이다. - 우크라이나 유대계 캐나다인 - 루이 B. 메이어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영화 제작자인 루이 B. 메이어는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MGM)를 설립하여 할리우드 최고의 스튜디오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하며 할리우드 황금기를 이끌었지만, 강압적인 경영 방식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캐나다의 수학자 - 존 찰스 필즈
캐나다 수학자 존 찰스 필즈는 대수 함수 연구에 기여하고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을 창설했으며, 토론토 대학교 교수로서 캐나다 수학계 발전에 헌신하고 국제 수학자 대회 유치에 기여했다. - 캐나다의 수학자 - 만줄 바르가바
캐나다 출신 미국 수학자 만줄 바르가바는 대수적 정수론에 기여하고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프린스턴 대학교 석좌교수로 수의 기하학, 초타원 곡선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 아벨상 수상자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 아벨상 수상자 - 존 밀너
존 밀너는 미분위상수학, 대수적 K이론, 동역학계에 기여한 미국의 수학자로, 7차원 이국적 초구의 존재를 증명하여 미분위상수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필즈상, 울프 수학상, 아벨상을 모두 수상했다.
루이스 니런버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25년 2월 28일 |
출생지 | 온타리오주 해밀턴 |
사망 | 2020년 1월 26일 |
사망지 | 뉴욕 맨해튼 |
국적 | |
분야 | 수학 |
직장 | 뉴욕 대학교 |
모교 | 맥길 대학교 (BS, 1945년) 뉴욕 대학교 (PhD, 1950년) |
주목할 만한 제자 | Walter Craig 지아이루 게데스 데 피게이레두 세르주 클라이너만 피터 B. 길키 Martin Schechter |
알려진 업적 | 편미분 방정식 갈리아르도-니렌버그-소볼레프 부등식 유계 평균 진동 (존-니렌버그 공간) 니렌버그 추측 |
학위 논문 제목 | 주어진 선 요소를 갖는 폐쇄된 볼록 표면의 결정 |
학위 논문 연도 | 1949년 |
소속 | 쿠란트 수학 연구소 |
수상 | |
수상 내역 | 보처 기념상 (1959년) 크라포르드상 (1982년) 스틸상 (1994년, 2014년) 미국 국가 과학 훈장 (1995년) 천상 (2010년) 아벨상 (2015년) |
2. 생애
루이스 니런버그는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해밀턴에서 우크라이나계 유대인 이민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런 바잉 고등학교와 맥길 대학교를 다녔으며, 1945년 수학 및 물리학에서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국립 연구 위원회(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에서 여름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어니스트 쿠란트의 아내 사라 폴을 알게 되었다. 그녀는 쿠란트의 아버지이자 저명한 수학자인 리처드 쿠란트에게 니런버그가 이론 물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어디에 지원해야 할지 조언을 구했다. 그들의 논의에 따라 니런버그는 뉴욕 대학교의 쿠란트 수학 과학 연구소에서 대학원에 입학하도록 초청받았다. 1949년, 제임스 스토커의 지도 아래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 그는 1916년부터 잘 알려진 미해결 문제였던 미분 기하학의 "바이어 문제"를 해결했다.
박사 학위 취득 후 그는 쿠란트 연구소의 교수가 되었고, 그곳에서 경력의 나머지를 보냈다. 45명의 박사 과정 학생들의 지도 교수를 맡았으며, 앙리 베레슈티키, 하임 브레지스, 루이스 카페렐리, 리 옌옌 등 많은 공동 저자들과 함께 15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87세까지 수학 연구를 계속했으며, 2020년 1월 26일,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학력
4. 주요 업적
니런버그는 슈무엘 아그몬과 에브론 도글리스와 협력하여 2차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해 이전에 이해되었던 쇼더 이론을 타원형 시스템의 일반적인 설정으로 확장했다.[18] 또한, 바실리스 기다스와 웨이밍 니와 함께 최대 원리를 혁신적으로 사용하여 미분 방정식의 많은 해의 대칭성을 증명했다.
1961년 니런버그는 프리츠 존과 함께 BMO 함수 공간을 연구하여 존-니렌버그 부등식을 증명했다. 이 연구는 원래 존이 탄성 재료 연구에서 도입했지만, 도박으로 알려진 마팅게일에도 적용되었다.[18] 1982년 루이스 카파렐리, 로버트 콘과 함께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존재 및 매끄러움에 획기적인 공헌을 했다.
그의 다른 업적으로는 2차원에서의 민코프스키 문제 해결, 갈리아르도-니렌베르크 보간 부등식, 뉴랜더-니렌버그 정리를 복소 기하학에서 증명한 것, 조지프 콘과 함께 의사 미분 연산자를 개발한 것 등이 있다.
조화 함수에 대한 최대값 원리는 1800년대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 의해 사용되었다.[32][33] 1900년대 초, 세르게이 베른스타인, 레온 리히텐슈타인, 에밀 피카르가 일반적인 2차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한 복잡한 확장을 발견했고, 1920년대에 에버하르트 호프가 간단하고 현대적인 증명을 발견했다.[34] 니런버그는 초기 작품 중 하나에서 호프의 증명을 2차 포물형 편미분 방정식에 적용하여 강한 최대값 원리를 확립했다.
니런버그와 에밀리오 갈리아르도는 독립적으로 소볼레프 공간에 대한 기본적인 부등식을 증명했으며, 이는 갈리아르도-니렌베르크-소볼레프 부등식과 갈리아르도-니렌버그 보간 부등식으로 알려져 있다.
카이 판은 게임 이론에 응용되는 최소-최대 정리를 개발했다.[50][51] 니런버그는 하임 브레지스, 귀도 스타파키아와 함께 판의 이론과 스타파키아의 Lax-Milgram 정리 일반화를 확장하는 결과를 도출했다.[52]
아그몬과 니런버그는 바나흐 공간에서의 상미분 방정식에 대해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방정식의 해의 점근적 표현과 무한대에서의 거동을 연산자 ''A''의 스펙트럼 특성과 관련시켰다.
존 내시의 등거리 매립 문제 연구에서 핵심 단계는 음함수 정리를 연상시키는 작은 섭동 결과였다. 그의 증명은 뉴턴 방법과 스무딩 연산자를 결합하여 사용했다.[60] 니런버그는 내시의 아이디어를 내시-모저 정리라고 불리는 추상적인 틀로 정리했다.
4. 1. 편미분 방정식
슈무엘 아그몬과 에브론 도글리스와 협력하여, 니런버그는 2차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해 이전에 알려졌던 쇼더 이론을 타원형 시스템의 일반적인 형태로 확장했다.[18] 바실리스 기다스와 웨이밍 니와 함께 그는 최대 원리를 혁신적으로 사용하여 미분 방정식의 많은 해의 대칭성을 증명했다. BMO 함수 공간의 연구는 1961년 니런버그와 프리츠 존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원래 존이 탄성 재료 연구에서 도입했지만, 도박으로 알려진 마팅게일에도 적용되었다.[18]1930년대에 찰스 모레이는 2차원 영역의 함수에 대한 준선형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의 기본적인 정칙성 이론을 발견했다.[25] 니런버그는 박사 학위 논문의 일환으로 모레이의 결과를 완전 비선형 타원형 방정식으로 확장했다. 모레이와 니런버그의 연구는 2차원을 광범위하게 사용했으며, 고차원 영역의 타원형 방정식에 대한 이해는 해결되지 않은 중요한 문제였다.
몽주-앙페르 방정식은 함수의 헤시안의 행렬식을 지정하는 형태로 완전 비선형 타원형 방정식의 표준 예시 중 하나이다. 1974년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초청 강연을 통해 니런버그는 에우제니오 칼라비와 함께 얻은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는 경계 정칙성 추정 및 연속성 방법에 기초한 것이었다.[26] 그러나 곧 그들의 증명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깨달았다.[26] 1977년, 청 시유엔과 싱퉁 야우는 몽주-앙페르 방정식의 존재와 내부 정칙성을 해결하여, 특히 함수의 헤시안의 행렬식이 매끄러우면 함수 자체도 매끄러워야 함을 보였다.[27] 그들의 연구는 르장드르 변환을 통한 민코프스키 문제와의 관계에 기반을 두었으며, 이는 그들이 이전에 미분 기하학적 추정으로 해결한 문제였다.[28] 특히, 그들의 연구는 경계 정칙성을 사용하지 않았고, 그러한 질문에 대한 결과를 해결하지 못했다.
루이스 카파렐리, 조엘 스푸룩과 협력하여 니런버그는 이러한 질문을 해결하고, 경계 정칙성을 직접 확립하여 연속성 방법에 기반한 몽주-앙페르 방정식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 방식을 구축하는 데 사용했다. 칼라비와 니런버그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미분에 대한 균일한 제어를 성공적으로 입증했다. 연속성 방법의 핵심은 두 번째 미분의 더 강력한 균일한 홀더 연속성이다. 카파렐리, 니런버그, 스푸룩은 경계를 따라 이의 정교한 버전을 확립했으며,[29] 이는 내부에서 칼라비의 세 번째 미분 추정을 사용하여 충분하다고 확립할 수 있었다.[30] 조셉 콘과 함께, 그들은 복소 몽주-앙페르 방정식의 설정에서 유사한 결과를 발견했다. 이러한 일반적인 상황에서, 에반스-크릴로프 이론[29]은 칼라비의 계산 기반 계산보다 더 유연한 도구이다.
카파렐리, 니런버그, 스푸룩은 헤시안의 고유값 간의 특정 관계가 지정된 함수를 연구하는, 더욱 일반적인 종류의 완전 비선형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으로 그들의 방법을 확장할 수 있었다. 그들은 새로운 종류의 방정식의 특별한 경우로, 특수 라그랑지안 부분 다양체에 대한 경계 값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니런버그의 1950년대 가장 유명한 연구는 "타원형 정칙성"을 다루고 있다. 아브론 도글리스와 함께 니런버그는 1930년대에 2차 타원형 방정식에서 발견된 쇼더 추정을 임의의 차수를 갖는 일반적인 타원형 시스템으로 확장했다. 슈무엘 아그몬 및 도글리스와 협력하여 니런버그는 임의의 차수를 갖는 타원형 방정식에 대한 경계 정칙성을 증명했다. 그들은 나중에 그들의 결과를 임의의 차수를 갖는 타원형 시스템으로 확장했다. 모리와 함께 니런버그는 해석적 계수를 갖는 타원형 시스템의 해가 경계까지 확장되어, 그 자체로 해석적임을 증명했다. 이러한 타원형 정칙성에 대한 기여는 현재 정보의 "표준 패키지"의 일부로 간주되며, 많은 교과서에서 다루어진다. 특히 도글리스-니런버그와 아그몬-도글리스-니런버그 추정은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이다.[31]
리 얀얀과 함께 탄성 이론의 복합 재료에 동기를 부여받아, 니런버그는 계수가 내부에서 횔더 연속이지만 경계에서 불연속일 수 있는 선형 타원형 시스템을 연구했다. 그들의 결과는 해의 기울기가 횔더 연속이며, 경계로부터의 거리에 독립적인 기울기에 대한 ''L''∞ 추정치를 갖는다는 것이다.
4. 2. 복소해석학
니런버그는 슈무엘 아그몬, 에브론 도글리스와 함께 2차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해 이전에 연구되었던 쇼더 이론을 타원형 시스템의 일반적인 설정으로 확장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18] 또한 바실리스 기다스, 웨이밍 니와 함께 최대 원리를 사용하여 미분 방정식의 많은 해의 대칭성을 증명하였다.[18]1950년대, A.D. 알렉산드로프는 "이동 평면" 반사 방법을 도입하여, 최대 원리를 통해 유클리드 공간에서 상수 평균 곡률을 갖는 유일한 닫힌 초곡면으로서 표준 구를 특정지었다. 1971년, 제임스 세린은 알렉산드로프의 기법을 활용하여 특정 2차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의 해가 대칭적인 영역에서 대칭성을 가짐을 증명했다. 니런버그는 세린의 연구를 통해 2차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의 해가 영역과 방정식 자체의 대칭성을 상속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니런버그는 바실리스 기다스, 니 웨이밍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알렉산드로프와 세린의 기법을 발전시켜 완전 비선형 타원형 및 포물형 방정식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후 연구에서 무경계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호프 보조정리를 개발하여 연구를 개선하였다.
앙리 베레스티츠키와 함께 알렉산드로프-바켈만-푸치 추정[29]을 사용하여 기다스-니-니렌버그의 방법을 개선하고 수정하여 영역의 규칙성을 가정할 필요성을 줄였다. 스리니바사 바라단과 함께, 베레스티츠키와 니런버그는 규칙성이 가정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루이스 카페렐리와 함께, 베레스티츠키와 니런버그는 그들의 결과를 원통형 영역에서의 함수의 대칭성에 적용했다.
4. 3. 미분기하학
니런버그는 슈무엘 아그몬, 에브론 도글리스와 함께 2차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해 이전에 이해되었던 쇼더 이론을 타원형 시스템의 일반적인 설정으로 확장했다.[18] 바실리스 기다스, 웨이밍 니와 함께 최대 원리를 혁신적으로 사용하여 미분 방정식의 많은 해의 대칭성을 증명했다.프리츠 존이 탄성 (물리학) 이론에서 유계 평균 진동 (BMO) 함수 공간을 처음 도입한 직후, 니런버그와 함께 이 공간에 대한 추가 연구를 수행하여 특히 "존-니렌버그 부등식"을 증명했다. 칼데론-지그문트 분해를 응용한 그들의 연구는 표준 수학 문헌의 일부가 되었다. 이 내용은 확률론,[44] 복소 해석,[45] 조화 해석,[46] 푸리에 해석,[47] 및 편미분 방정식에 관한 표준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다.[29]
존-니렌버그 부등식과 BMO 이론의 더 일반적인 기초는 니렌버그와 하임 브레지스에 의해 리만 다양체 사이의 맵의 맥락에서 연구되었다.
4. 4. 함수 부등식
슈무엘 아그몬, 에브론 도글리스와 함께 2차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해 이전에 이해되었던 쇼더 이론을 타원형 시스템의 일반적인 설정으로 확장했다. 바실리스 기다스, 웨이밍 니와 함께 최대 원리를 혁신적으로 사용하여 미분 방정식의 많은 해의 대칭성을 증명했다. 갈리아르도-니렌베르크 보간 부등식도 그의 업적 중 하나이다.5. 수상 및 영예
연도 | 수상 및 영예 |
---|---|
1959 | 보처 기념상 |
1965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
1969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
1982 | 크라포드 상 (블라디미르 아르놀트와 공동 수상) |
1987 | 제프리-윌리엄스 상 |
1987 | 미국 철학회 회원 |
1994 | 스틸상 평생 공로 부문 |
1995 | 국가 과학 메달 |
2010 | 천상 |
2010 |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명예 이학 박사 학위 |
2014 | 스틸상 연구 획기적 기여 부문 (루이스 카페렐리, 로버트 콘과 공동 수상) |
2015 | 아벨상 (존 내시와 공동 수상) |
미국 수학회 펠로우[60][61][62] |
6. 저서
Memoir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영어는 Memoir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영어로,
Regional conference series in mathematics영어는 Regional conference series in mathematics영어로,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영어는 미국 수학회 회보로,
Communications o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영어는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으로,
Annals of Mathematics영어는 수학 연보로,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영어는 미국 수학 저널로,
Annali della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 Classe di Scienze영어는 피사 고등 사범 학교 연보. 과학부로,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영어는 수학 물리학 커뮤니케이션으로,
Compositio Mathematica영어는 조성 수학으로,
Acta Mathematica영어는 수학 행위로,
Bollettino della Unione Matematica Italiana영어는 이탈리아 수학 연합 볼레티노로,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영어는 미분 기하학 저널로,
Journal of Mathematical Analysis and Applications영어는 수학적 분석 및 응용 저널로,
Contributions to analysis: a collection of papers dedicated to Lipman Bers영어는 ''분석에의 기여: 립만 베르스에게 헌정된 논문 모음''으로,
Advances in Mathematics, Supplement Studies영어는 ''수학 발전, 보충 연구''로,
Annales de l'Institut Henri Poincaré C영어는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 연보 C로,
Boletim da Sociedade Brasileira de Matemática영어는 브라질 수학회 볼레티노로 번역한다.
'''도서 및 개요'''
출판 연도 | 제목 | 비고 |
---|---|---|
1973 | 선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한 강의 | 미국 수학회 출판, ISBN 978-0-8218-1667-7 |
1981 | 비선형 문제의 변분 및 위상 방법 | 미국 수학회 회보에 게재 |
1994 | 20세기 전반기의 편미분 방정식 | 장 폴 피에르의 수학의 발전 1900–1950에 수록 |
2001 | 비선형 함수 해석의 주제 | 쿠랑 연구소 출판, 1974년 원본의 개정 재판, ISBN 0-8218-2819-3 |
2018 | 미분 방정식 및 미분 기하학에 대한 강의 | 고등 교육 출판사 출판, ISBN 978-7-04-050302-9 |
'''논문'''
출판 연도 | 제목 | 학술지 | 공저자 |
---|---|---|---|
1953 | 비선형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과 횔더 연속성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
1953 | 포물선 방정식에 대한 강한 최대 원리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
1953 | 대규모 미분 기하학의 바일 및 민코프스키 문제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
1955 | 편미분 방정식의 타원형 시스템에 대한 내부 추정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아브론 더글리스 |
1955 | 강하게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한 고찰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
1957 | 편미분 방정식의 선형 타원형 시스템 해의 해석성에 관하여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찰스 모레이 주니어 |
1957 | 거의 복소다양체에서의 복소 해석 좌표 | 수학 연보 | 뉴랜더 |
1959 | 일반 경계 조건을 만족하는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 해의 경계 근처 추정. I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슈무엘 아그몬, 더글리스 |
1959 | 야코비안이 부호 변화를 하지 않는 구면 이미지 맵에 관하여 | 미국 수학 저널 | 필립 하트만 |
1959 |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에 관하여 | 피사 고등 사범 학교 연보. 과학부 | |
1961 | 평균 진동이 유한한 함수에 관하여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프리츠 존 |
1963 | 바나흐 공간의 상미분 방정식 해의 성질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슈무엘 아그몬 |
1963 | 1차 선형 편미분 방정식의 해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프랑수아 트레브 |
1964 | 일반 경계 조건을 만족하는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 해의 경계 근처 추정. II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슈무엘 아그몬, 더글리스 |
1965 | 의사미분 연산자의 대수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조셉 콘 |
1965 | 비강제 경계값 문제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조셉 콘 |
1966 | 확장된 보간 부등식 | 피사 고등 사범 학교 연보. 과학부 | |
1967 | 2차 퇴화 타원-포물선 방정식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조셉 콘 |
1970 | 선형 편미분 방정식의 국소 해에 관하여. I. 필요 조건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프랑수아 트레브 |
1972 | Ky Fan의 미니맥스 원리에 대한 고찰 | 이탈리아 수학 연합 볼레티노 | 하임 브레지, 귀도 스탬파치아 |
1972 | 비선형 코시-코발레프스키 정리의 추상적인 형태 | 미분 기하학 저널 | |
1973 | 에서 타원형 편미분 연산자의 영공간 | 수학적 분석 및 응용 저널 | 워커 |
1974 | 등각 또는 사영 변환에 불변하는 편미분 방정식 | 분석에의 기여: 립만 베르스에게 헌정된 논문 모음에 수록 | 찰스 로에프너 |
1977 | 자유 경계 문제의 규칙성 | 피사 고등 사범 학교 연보. 과학부 | 데이비드 킨더레러 |
1978 | 일부 비선형 연산자의 범위 특성화 및 경계값 문제에의 응용 | 피사 고등 사범 학교 연보. 과학부 | 하임 브레지 |
1978 | 비선형 파동 방정식에 대한 강제 진동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하임 브레지 |
1979 | 최대 원리를 통한 대칭성 및 관련 속성 | 수학 물리학 커뮤니케이션 | 바실리스 기다스, 웨이-밍 니 |
1980 | 비선형 파동 방정식에 대한 자유 진동 및 P. Rabinowitz의 정리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하임 브레지, 장-미셸 코론 |
1981 | Rn에서 비선형 타원형 방정식의 양의 해의 대칭성 | 수학적 분석 및 응용. 파트 A에 수록 | 바실리스 기다스, 웨이-밍 니 |
1982 | 나비에-스톡스 방정식의 적절한 약한 해의 부분 규칙성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루이스 카파렐리, 로버트 V. 콘 |
1983 | 임계 소볼레 지수를 포함하는 비선형 타원형 방정식의 양의 해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하임 브레지 |
1984 | 가중치를 갖는 1차 보간 부등식 | 조성 수학 | 루이스 카파렐리, 로버트 V. 콘 |
1984 | 비선형 2차 타원형 방정식에 대한 디리클레 문제. I. 몽주-앙페르 방정식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루이스 카파렐리, 조엘 스프루크 |
1985 | 비선형 2차 타원형 방정식에 대한 디리클레 문제. II. 복소 몽주-앙페르 및 균일 타원형 방정식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루이스 카파렐리, 조셉 콘, 조엘 스프루크 |
1985 | 비선형 2차 타원형 방정식에 대한 디리클레 문제. III. 헤시안의 고유값의 함수 | 수학 행위 | 루이스 카파렐리, 조엘 스프루크 |
1991 | 이동 평면 방법 및 슬라이딩 방법에 관하여 | 브라질 수학회 볼레티노 | 앙리 베레스티츠키 |
1991 | 임계점을 찾는 것에 대한 고찰 | 순수 및 응용 수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하임 브레지 |
1992 | 실린더 내의 이동 전선 |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 연보 C | 앙리 베레스티츠키 |
참조
[1]
웹사이트
Reflections on the Early Mathematical Life of Bob Osserman
http://www.math.ston[...]
2012-04-21
[2]
간행물
Interview with Louis Nirenberg
http://www.mat.ucm.e[...]
2015-03-26
[3]
논문
Preface [Dedicated to Louis Nirenberg on the occasion of his 85th birthday. Part I]. Discrete Contin. Dyn. Syst. 28 (2010), no. 2, i–ii.
[4]
논문
Perspectives on geometric analysis.
https://www.intlpres[...]
2006-00-00
[5]
웹사이트
Morto il grande matematico Louis Nirenberg
http://maddmaths.sim[...]
[6]
뉴스
Louis Nirenberg, 'One of the Great Mathematicians,' Dies at 94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20-02-19
[7]
뉴스
Louis Nirenberg (1925–2020)
https://www.nature.c[...]
Nature
2020-02-19
[8]
웹사이트
Browse Prizes and Awards
https://www.ams.org/[...]
2022-08-12
[9]
웹사이트
Louis Nirenberg
https://www.amacad.o[...]
2022-05-05
[10]
웹사이트
Louis Nirenberg
http://www.nasonline[...]
2022-05-05
[11]
웹사이트
The Crafoord Prize 1982
https://www.crafoord[...]
1982-05-25
[12]
웹사이트
Jeffery-Williams Prize
https://cms.math.ca/[...]
2022-08-12
[13]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05-05
[14]
간행물
1994 Steele Prizes.
https://www.ams.org/[...]
[15]
간행물
Louis Nirenberg receives National Medal of Science.
https://www.ams.org/[...]
[16]
간행물
2010 Chern Medal awarded.
https://www.ams.org/[...]
[17]
웹사이트
2015: John F. Nash and Louis Nirenberg
https://abelprize.no[...]
The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22-08-12
[18]
웹사이트
John F. Nash Jr. and Louis Nirenberg share the Abel Prize
http://www.abelprize[...]
2015-03-26
[19]
논문
Sur le mouvement d'un liquide visqueux emplissant l'espace.
[20]
논문
Über die Anfangswertaufgabe für die hydrodynamischen Grundgleichungen.
[21]
논문
Partial regularity of solutions to the Navier-Stokes equations.
[22]
논문
Hausdorff measure and the Navier-Stokes equations.
[23]
논문
On partial regularity results for the Navier-Stokes equations.
[24]
논문
A new proof of the Caffarelli-Kohn-Nirenberg theorem.
[25]
논문
On the solutions of quasi-linear elliptic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26]
문서
See the second page of CNS84.
[27]
논문
On the regularity of the Monge-Ampère equation det(∂2u/∂xi∂xj) = F(x,u).
[28]
논문
On the regularity of the solution of the n-dimensional Minkowski problem.
[29]
서적
Elliptic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of second order.
[30]
논문
Improper affine hyperspheres of convex type and a generalization of a theorem by K. Jörgens.
[31]
서적
Multiple integrals in the calculus of variations. Die Grundlehren der mathematischen Wissenschaften, Band 130
[32]
문서
The historical comments and references are taken from James Serrin's commentary on page 9 of ''Selected Works of Eberhard Hopf with Commentarie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Providence, RI, 2002. xxiv+386 pp.
[33]
문서
Allgemeine Theorie des Erdmagnetismus. Resultate aus den Beobachtungen des Magnetischen Vereins im Jahre 1838.
[34]
문서
Elementare Bemerkungen über die Lösungen partieller Differentialgleichngen zweiter Ordnung vom elliptischen Typus (1927)
[35]
서적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36]
서적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of parabolic type
Prentice-Hall, Inc.
[37]
서적
Linear and quasilinear equations of parabolic typ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8]
서적
Second order parabolic differential equations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Inc.
[39]
서적
Maximum principles in differential equations
Springer-Verlag
[40]
서적
Shock waves and reaction-diffusion equations
Springer-Verlag
[41]
논문
Regularity of flat level sets in phase transitions
[42]
논문
On De Giorgi's conjecture in dimension N≥9
[43]
논문
On the Caffarelli-Kohn-Nirenberg inequalities: sharp constants, existence (and nonexistence), and symmetry of extremal functions
[44]
서적
Continuous martingales and Brownian motion
Springer-Verlag
[45]
서적
Bounded analytic functions
Springer
[46]
서적
Weighted norm inequalities and related topics
North-Holland Publishing Co.
[47]
서적
Modern Fourier analysis
Springer
[48]
논문
On Harnack's theorem for elliptic differential equations
[49]
논문
A Harnack inequality for parabolic differential equations
[50]
논문
A generalization of Tychonoff's fixed point theorem
[51]
논문
A minimax inequality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52]
논문
Formes bilinéaires coercitives sur les ensembles convexes
[53]
서적
Applied nonlinear analysis
Dover Publications, Inc.
[54]
논문
Free vibrations for a semilinear wave equation
[55]
서적
Critical point theory and Hamiltonian systems
Springer-Verlag
[56]
서적
Variational methods. Applications to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nd Hamiltonian systems
Springer-Verlag
[57]
서적
Minimax theorems
Birkhäuser Boston, Inc.
[58]
논문
Remarks on the Schrödinger operator with singular complex potentials
[59]
논문
Sobolev versus Hölder local minimizers and global multiplicity for some quasilinear elliptic equations
[60]
논문
The imbedding problem for Riemannian manifolds
[61]
논문
A note on a theorem of Nirenberg
[62]
논문
Fluid dynamical limit of the nonlinear Boltzmann equation to the level of the compressible Euler equation
[63]
논문
C1 isometric imbeddings
[64]
논문
Hypersurfaces with constant scalar curvature
[65]
논문
Hypersurfaces of constant curvature in space forms
[66]
간행물
Interview with Louis Nirenberg
http://www.mat.ucm.e[...]
2015-03-26
[67]
간행물
On elliptic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68]
간행물
On functions of bounded mean oscillation
http://dml.cz/bitstr[...]
[69]
웹사이트
John F. Nash Jr. and Louis Nirenberg share the Abel Prize
http://www.abelprize[...]
2015-03-26
[70]
웹사이트
Louis Nirenberg
http://www-history.m[...]
University of St Andrews
2015-03-26
[71]
웹사이트
Fields Medals, Other Top Math Prizes, Awarded
http://news.sciencem[...]
2010-08-19
[72]
웹사이트
List of Fellow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http://www.ams.org/p[...]
2013-02-24
[73]
웹사이트
Morto il grande matematico Louis Nirenberg
http://maddmaths.sim[...]
[74]
뉴스
Louis Nirenberg, 'One of the Great Mathematicians,'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20-01-31
[75]
뉴스
Louis Nirenberg (1925–2020)
https://www.nature.c[...]
Nature
2020-02-17
[76]
웹인용
Louis Nirenberg
http://www-history.m[...]
University of St Andrews
2010-02-01
[77]
웹인용
Fields Medals, Other Top Math Prizes, Awarded
http://news.sciencem[...]
2010-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